한글날이 몇월 몇일인지 아신가요?
우리나라 전 국민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한글, 이 위대한 한글이 반포된 날은 10월 9일입니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한글이 반포된 날을, 북한은 창제한 날을 한글날로 삼고 있습니다.
이미 세계적으로 그 위대함을 인정받고, 우리나라 문화유산 어느것과 비교해도 우월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 바로 한글입니다. 그런데 이런 중요한 의의를 갖는 날을 1991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하는 상식 밖의 일을 국가가 저질렀습니다. 상대적일 수 있으나 다른 공휴일,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나 석가탄실일과 한글날을 감히 비교할 수 있을까요? 종교가 중요한 탈세도구로 이용되니 그들의 비위를 맞춰주는 것인지, 아니면 문화 사대주의를 조장하는 것인지 알수가 없습니다.
한글날이 공휴일에서 제외된 이유
1990년 10월 초, 그 해의 달력을 살펴보면 추석, 국군의 날, 한글날 등 유독 쉬는 날이 많았습니다. 그러자 국가 경쟁력과 기업 경쟁력을 운운하며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정부에 한글날과 국군의 날 폐지 요청을 합니다. 경영자들이 노동자를 더 부려먹어야한다며 국가를 상대로 목소리를 낸 것입니다.
당시 문화부장관인 이어령 장관이 강력하게 반대했지만 노태우 전 대통령의 의중을 파악한 총무처가 한글날과 국군의 날을 폐지할 준비를 합니다. 더욱 어처구니 없는 것은 국가의 보물을 기념하는 날을 충분한 심의도 없이 그 해 달력만 보고 공휴일에서 폐지해 버린 것입니다. 만약 10월에 쉬는 날이 한글날 밖에 없었다면 공휴일에서 폐지하지 않았다는 의미입니다. 한글날이 갖는 의의를 다른 공휴일과 비교·분석하여 공휴일에서 제외한 것이 아니라 10월 초에 쉬는 날이 너무 많으니 한두개쯤은 그냥 없애버리자는 식이였다는 것입니다.
국가가 한글날을 갑자기 폐지해버리자 10월 초에 기차표나 버스표 등을 예매해 놓은 사람들의 항의가 들끓었습니다. 그러자 정부는 조삼모사식으로 1990년 한글날은 공휴일로 쉬게 하도록 조처하였고, 이듬해부터 한글날은 검은날로 바꿔버립니다.
한글날 공휴일 재지정을 반대하는 경제단체
우리나라 노동자의 근무여건은 참혹합니다. 말로는 9시 출근 6시 퇴근, 공휴일 및 주말은 쉰다고 되어 있지만 사회생활 조금만 해보시면 이 말이 정치하는 사람들의 말과 맞먹는 거짓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겁니다.
참고로 2005년 경제단체에서 개천절, 어린이날, 현충일을 공휴일에서 제외해달라며 내민 근거는 프랑스라는 국가였습니다. 프랑스의 연간 공휴일이 8.8일로 우리나라 10.3일보다 적다는 것이 그들의 논리였습니다. 그러나 프랑스는 1년 최대 235일 근무일수를 명백히 법으로 지정했습니다. 365일에서 주말과 공휴일(8.8일)을 빼면 260일이 나오는데 최대근무를 한다고해도 25일 정도는 연가, 병가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우리나라는 어떤가요? 연가를 쓰려해도 눈치를 보면서 써야하는 것이 우리나라 노동자의 현실입니다.
그러나 경제단체는 단순 공휴일 수가 비교하여 사실상 각종 국가기념일을 공휴일에서 제외해 그 의미를 공휴할 수 있는 기회를 단절시켰고, 노동자의 가끔 빨간날을 보면서 사는 소소한 낙을 없애버립니다.
공휴일은 노는 날이다?
10월 3일은 무슨 날일까요? 6월 6일은요? 개천절과 현충일, 우리나라 건국을 기념하는 날과 국토방위를 위해 목숨을 받친 국군 장병들의 넋을 위로하는 날입니다. 만약 현충일을 공휴일이 아닌 국경일로만 지정한다면 지금처럼 많은 사람들이 어떤 의의가 있는 날인지 기억할 수 있을까요?
공휴일은 물론 고된 노동에 지친 노동자와 빡빡한 공부에 지친 학생들에게 달콤한 휴식을 주는 날입니다. 그러나 공휴일이 어떤 날인지도 모르고 쉬지는 않습니다. 적어도 '내일 왜 쉬지?' 라는 의문에 그 날이 어떤 날인지는 찾아보고 의미를 되새기기 마련입니다. 또한 해당 공휴일과 관련된 축제와 행사들에 참여하여 기쁨을 공유할 수도 있습니다. 그 날이 국경일이지만 공휴일이 아니라면 사실상 출근하는 노동자와 등교하는 학생들은 각종 문화행사에 참여하기 어렵습니다.
경제단체와 정부는 공휴일 폐지로 인해 가져올 근시안적 경제이득을 생각하기 보다, 부모가 아이 손잡고 공휴일의 의의를 되새기는 행사해 참여하는 교육적 효과가 먼 장래를 보면 사회에 10배 아니 100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Before 2016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립고 교사 채용, 설마했는데 이정도였다니 (4) | 2012.04.01 |
---|---|
애꿎게 버려지는 신생아, 도대체 무슨 이유로? (2) | 2012.03.30 |
지하철 따뜻녀, 훈훈함을 넘어선 숨겨진 효과 (6) | 2012.03.28 |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 우수워 (8) | 2012.03.27 |
고교 자퇴, 박수를 보내고 싶은 용기 있는 선택 (1) | 201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