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 새해 아침에 입는 새 옷인 설빔을 입고 돌아가신 조상들에게 절을 드리는 차례를 지냅니다., 그런 다음 나이가 많은 어른들에게부터 새해 인사인 세배를 합니다.
설 용어의 기원
조선시대에 의정대신들은 모든 관원을 거느리고 대궐에 나가 새해 문안을 드리고 전문과 표기 (거친 무명 또는 흰 명주)를 바치고 정전(왕이 임어하여 조회를 하는 궁전)의 뜰로 나가 조하(조정에 나아가 임금께 하례함)을 올렸습니다. 이 날 사당에 지내는 제사를 차례라 하고 아이들이 입는 새 옷을 세장이라고 하며 어른들을 찾아 뵙는 일을 세배라 하였습니다. 이 날 대접하는 시절 음식을 세찬(떡국)이라고 하며 또한 이에 곁들인 술을 세주(초백주, 도소주)라 합니다. 또 시루떡을 쪄서 올려 놓고 신에게 빌기도 했습니다. 한편 사돈집 사이에는 부인들이 근친하는 뜻으로 하녀를 서로 보내어 새해 문안을 드리는데 이 하녀를 문안비라 했습니다. 민가에는 벽 위에 닭과 호랑이의 그림을 붙여 액이 물러가기를 빌고 남녀의 나이가 불길한 일을 당한 자는 세 마리의 매를 그려 문설주에 붙입니다. 설날 꼭두새벽에 거리에 나가 맨처음 들려오는 소리로 1년간의 길흉을 점치는데 이를 정참이라 합니다. 또한 나무에 금목수화토를 새겨 장기쪽같이 만들어 이것을 던져서 자빠지고 엎어진 것을 보아 점괘를 얻어 새해의 신수를 점치는데 이를 오행점이라 합니다. 남녀가 1년간 빗질할 때 빠진 머리카락을 모아 빗상자 속에 넣었다가 설날, 황혼을 기다려 문 밖에서 태움으로써 나쁜 병을 물리친다고 생각했습니다. 설날부터 3일동안은 길거리에 많은 남녀들이 떠들썩하게 왕래하는데 울긋 불긋한 옷차림이 빛나며 아는 사람을 만나면 반갑게 좋은 일을 말하는데 이를 덕담이라고 합니다.
지금 아이들에게 어른들의 설 놀이가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화투'라고 대답할 만큼 우리고유의 놀이를 잃어버린지 오래입니다. 보통 우리의 설 놀이는 윷놀이와 널뛰기였습니다.
설날에서 '설'의 기원
1. 서럽다의 설이라는 설(設)로 선조 때 학자 이수광이 '여지승람'이란 문헌에 설날이 '달도일'로 표기되었는데 달은 슬프고 애달파 한다는 뜻이요 도는 칼로 마음을 자르듯이 마음이 아프고 근심에 차 있다는 뜻입니다. 서러워서 설 추워서 추석이라는 속담도 있듯이 추위와 가난 속에서 맞는 명절이라서 서러운지 차례를 지내면서 돌아가신 부모님 생각이 간절하여 그렇게 서러웠는지는 모르겠습니다.
2. 사리다의 살에서 비롯됐다는 설(設)로 각종 세시기들이 설을 신일이라 하여 '삼가고 조심하는 날'로 기술한 것도 몸과 마음을 바짝 죄어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의 첫 시작을 경거 망동하지 말라는 까닭입니다. 옛날 문헌들에 정초에 처음 드는 용띠 낱 말띠 날 쥐띠 날 돼지띠 날 그리고 2월 초하룻날을 신일로 적혀 있음을 근거로 하여 육당 최남선이 풀이한 기원설입니다. 새해부터 처음 맞이하는 십이일을 상십이지일(上十二支日)이라 하여 여러 가지를 삼가며 조심할 것을 가르친 풍속이 있는 걸 볼 때 매우 타당해 보입니다.
3. 나이를 댈 때 몇 살 하는 '살'에서 비롯된 연세설입니다. 한국말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친 우랄 알타이어계에서 해가 바뀌는 연세를 '살(산스크리트어), 잘(퉁구스어), 질(몽고어)라고 합니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살'은 두가지 뜻이 있는데 그 하나는 해가 돋아나듯 새로 돋고 새로 솟는다는 뜻이 그 하나요, 다른 하나는 시간적으로 이전과 이후가 달라진다는 구분이나 경계를 뜻하고 있습니다. 이 모두 정초와 직접 연관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어원사전인 '청문엽서'에 보면 연세를 나타내는 '살','잘'은 세(世),대(代),세(歲),수(壽)를 뜻하고 또 대나무나 풀이나 뼈마디를 뜻하는 절의 어원이라고도 했습니다. 몇 살 몇 살 하는 살이 그 연세의 매듭을 짓는 정초를 나타내는 설로 전화됐음직합니다.
4. 마지막 가장 설득력 있는 견해는 '설다, 낯설다'의 '설'이라는 어근에서 나왔다는 설(說)입니다. 처음 가보는 곳, 처음 만나는 사람은 낯선 곳이며 낯선 사람입니다. 따라서 설은 새해라는 정신,문화적 시간의 충격이 강해서 '설다'의 의미로, 낯 '설은 날로 생각되었고, '설은 날'이 '설날'로 정착되었습니다. 곧 묵은해에서부터 분리되어 새해로 통합되어가는 전이과정에 있는 다소 익숙치 못하고 낯설은 단계라는 의미입니다.
'Before 2016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시기사가 시속 20km로 주행한 황당한 이유 (2) | 2012.01.25 |
---|---|
학급당 학생수, 정부의 교묘한 눈속임 속보여 (2) | 2012.01.24 |
학교주변 유해업소, 지역교육청은 봉사인가? (1) | 2012.01.22 |
학교폭력원인, 이것이 부족하기 때문은 아닐까 (5) | 2012.01.21 |
준 곽노현 받은 박명기보다 형벌 가벼운 까닭 (0) | 2012.01.20 |